서울시민청 콘텐츠 개발 사업명 서울시 시민청 콘텐츠, 이벤트 및 통합운용 개발용역 사업기관 서울시청 사업년도 2012

 

사건 기획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의 공간-서울 시민청 프로젝트

티팟의 놀라운 관공서 만들기 프로젝트, 첫번째 주인공은 우리나라 도시 가운데 가장 크고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는 특별한 도시, 서울에 있는 시청입니다. 티팟에게도 서울 시민청 프로젝트는 무척 특별한 작업이었습니다. 이전에도 공공 공간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을 시도해왔지만, 이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과 ‘공간’이라는 개념에 대해 더 진지하고 더 깊이 고민하게 되었으니까요.

티팟은 딱딱하고 문턱 높은 곳, 공적인 업무가 있어야만 방문하는 곳, 시민을 위한 공간이지만 시민들에게 닫혀 있던 공간이었던 시청 대신 시민이 주체가 되는 Civic Center, 시민청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냈고, 이 성과는 광주 청사 리모델링, 경기도 신청사 프로젝트로 이어졌습니다.

 

서울 시민청 프로젝트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기존에 서울의 매력과 비전을 제시해 서울의 브랜드 향상 및 마케팅을 강화” 하겠다는 ‘관’의 목적을 위해 기획되었던 ‘시티갤러리’를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의 공간”인 ‘시민청’이라는 새로운 정체성과 비전으로 새롭게 설정하는 것, 그리고 그 새로운 공간에 맞는 콘텐츠를 기획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마스터플랜 작업을 위해 티팟을 중심으로 스튜디오바프(주)와 모토엘라스티코가 컨소시엄을 구성, TF Team이 되어 은병수 서울시 전시예술감독의 감수하에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리서치 시민의 공간을 찾다

시민이 주인이 되는 시민청이란 어떤 모습일까요?

그것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시민청의 사용 주체가 될 서울 시민들의 의견을 듣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서울 시정 모니터단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설문조사와 서울에 거주하는 다양한 연령대 시민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시민들이 원하는 ‘공간’이 어떤 것인지 윤곽선을 그릴 수 있었습니다.

“모두에게 자유롭고 편안한 시설이면서도, 개인화되거나 객체화하지 않고 시민으로서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시민으로 성장하고, 시민과 소통하는 공간, 과거의 모습에만 묶여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 서울 시민의 이야기가 담긴 서울의 상징이자 명소인 공간”이라고 정리해볼 수 있겠네요. 하지만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지금 서울에 살고 있는 시민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겠지요.

새로운 서울 시민청의 모델이 될 만한 사례를 찾고 분석하는 작업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사례인 서울광장과 촛불문화제는 물론이고, 시민들이 주체로 참여하는 시민소통 시정의 예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시나 영국의 브리스톨시 같은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런던 공공도서관 아이디어 스토어’나  일본의 ‘요코하마 뱅크아트 1929’ 같은 시민 중심의 문화공간, 일본의 교토 소셜키친, 영국의 리버풀박물관처럼 성공적으로 시민 참여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운영하는 곳들을 검토해 참고할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비전 다시 태어난 시민의 공간

리서치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의 주체가 될 서울 시민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이를 다시 공간의 정체성에 적용해 새로운 비전을 세웠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의 첫번째 과정은 바로 서울 시민에게 가장 필요한 공간은 ‘시민을 위한 경청의 마당’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어요. 티팟이 제안한 시티갤러리의 새로운 네이밍, ‘시민청(聽)’은 바로 이런 배경에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시민청’이라는 이름은 서울시청 지하 1층과 2층에 마련된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의’ 공간을 위해 새롭게 지어진 이름입니다.  ‘관청 청(廳)’자 대신 ‘들을 청(聽)’자를 사용해 ‘경청의 마당’이 되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시민청이 시민과 함께 만들고, 함께 누리는 시민생활공간으로 자리매김해 나가려면 서로 다른 시민의 생각을 경청하는 과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취지로 시민청의 심볼 및 로고는 ‘경청하는 귀’를 상징하여 디자인되었습니다.

 

 

'경청하는 귀' 조형물

 

콘텐츠 과정이 콘텐츠가 되다

티팟은 시티갤러리를 ‘시민청’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마당’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니 시민청이 제공하는  콘텐츠 역시 시민이 와서 막연히 구경만 하고 가는 그런 ‘제공형’의 방식이 아닌, 시민 스스로가 참여하여 만들어가는, 과정이 곧 콘텐츠가 되는 ‘창의적 과정’을 일으킬 수 있는 ‘플랫폼’이 되어야 했지요.

티팟은 이런 플랫폼에 적합한, 다양한 특성과 관심사를 지닌 시민이 고루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각 프로그램별로 필요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시민청’이라는 이름은 서울시청 지하 1층과 2층에 마련된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시민의’ 공간을 위해 새롭게 지어진 이름입니다.  ‘관청 청(廳)’자 대신 ‘들을 청(聽)’자를 사용해 ‘경청의 마당’이 되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시민청이 시민과 함께 만들고, 함께 누리는 시민생활공간으로 자리매김해 나가려면 서로 다른 시민의 생각을 경청하는 과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취지로 시민청의 심볼 및 로고는 ‘경청하는 귀’를 상징하여 디자인되었습니다.

 

사랑방워크숍

정책카페

한마음나눔장

사랑방워크숍 운영 모형

성장 함께 만들어가다

서울 시민청 프로젝트는10주라는 짧은 시간 안에 모든 연구를 마쳐야 하는 어려운 조건이었지만, 기존에 진행되었던 기획을 완전히 새로운 관점으로 뒤집어 본 재미있는 작업이었어요.

티팟의 멍석을 까는 역할은 끝났지만 서울 시민청 프로젝트는 서울 시민들에 의해 지금도 계속 진행중입니다. 앞으로 1년 뒤, 10년 뒤에 서울 시민청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할지 지켜보는 것은 그래서 매우 흥미진진합니다.

시민 스스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힘을 키우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그 연습과 실험의 과정이야말로 서울 시민청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거예요. 시민청은 자생적 시민이라는 정체성에서 시작해서 탄생한 공간이니까요. 티팟과 함께 서울 시민청이 성장하는 모습을 지켜봐주세요.